1. 문자를 사용한 식
1) 문자의 사용: 문자를 사용하면 수량 사이의 관계를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.
2) 문자를 사용하여 식 세우기
- 문제의 뜻을 파악하여 수량 사이의 관계 또는 규칙을 찾는다.
- 위에서 찾은 규칙에 맞게 문자를 사용하여 식으로 나타낸다.
2. 기호의 생략
- 곱셈 기호의 생략
1) 수는 문자 앞에 쓴다.
2) 문자는 알파벳 순으로 쓰고 같은 문자의 곱은 거듭제곱의 꼴로 나타낸다.
3) 1 * (문자) 또는 (-1) * (문자) 에서 1은 생략한다.
4) 괄호가 있을 때에는 수를 괄호 앞에 쓴다.
- 나눗셈 기호의 생략
1) 나눗셈 기호 ÷를 생략하고 분수의 꼴로 나타낸다.
2) 나눗셈 기호 ÷를 역수를 이용하여 곱셈으로 바꾸고 곱셈 기호를 생략한다.
3. 식의 값
1) 대입 : 문자를 포함한 식에서 문자 대신 어떤 수를 넣는 것
2) 식의 값 : 문자를 사용한 식에서 문자에 수를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
3) 식의 값 구하기
- 생략되어 있는 기호 ×, ÷를 다시 쓴다.
- 문자에 주어진 수를 대입하여 식의 값을 계산한다.
4. 다항식
- 항 : 수 또는 문자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
- 상수항 : 문자없이 수로만 이루어진 항
- 계수 : 항에서 문자 앞에 곱해진 수
- 다항식 :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
- 단항식 : 다항식 중에서 하나의 항으로만 이루어진 식
5. 일차식
- 항의 차수 : 항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문자의 곱해진 개수
- 다항식의 차수 : 다항식에서 차수가 가장 큰 항의 차수
- 일차식 : 차수가 1인 다항식
6. 일차식과 수의 곱셈, 나눗셈
- 다항식 × 수 : 단항식의 계수에 수를 곱하여 문자 앞에 쓴다.
- 단항식 ÷ 수 : 나누는 수의 역수를 곱한다.
- 수 × 일차식 :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일차식의 각 항에 수를 곱한다.
- 일차식 ÷ 수 :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나누는 수의 역수를 곱한다.
7. 동류항
문자와 차수가 모두 같은 항
- 동류항의 덧셈, 뺄셈
1) 덧셈 : 계수끼리의 합에 문자를 곱한다.
2) 뺄셈 : 계수끼리의 차에 문자를 곱한다.
8.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
1)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괄호를 푼다.
2) 동류항끼리 모은다.
3) 동류항끼리 계한하여 식을 정리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