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학

제곱근과 실수

Happy_Dobi 2016. 11. 1. 16:19

1. 제곱근의 뜻

  - 음이 아닌 수 a에 대하여 제곱해서 a가 되는 수를 a의 제곱근이라 한다.
    x² = a (a >=0) 일 때 x 를 a의 제곱근이라 한다.
   1) 양수의 제곱근은 양수, 음수 두개 이고 두 수의 절댓값은 서로 같다.
   2) 0의 제곱근은 0 하나 뿐인다.
   3) 제곱하여 음수가 되는 수는 없으므로 음수의 제곱근은 없다.

2. 제곱근의 표현 
 - 제곱근은 √ 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'제곱근' 또는 '루트'라고 읽는다.
 - 양수 a의 제곱근 중 양수인 것을 양의 제곱근(√a), 음수인 것을 음의 제곱근 (-√a)라 한다.

3. 제곱은의 성질
  a > 0일 때
  1) a의 제곱근을 제곱하면 a가 된다.
     (√a)² = a, (-√a)² = a
  2) 근호 안의 수가 어떤 수의 제곱이면 근호를 없앨 수 있다.
     √a² = a, √(-a)² = a

  3) a >= 0 일 때  √a² = a
  4) a < 0 일 때  √a² = -a

4. 제곱수와 그 성질
  1) 제곱수 : 1, 4, 9, 16 .. 과 같이 자연수의 제곱인 수 
  2) 제곱수의 성질 : 제곱수를 소인수분해하면 소인수의 지수가 모두 짝수이다.
  3) 근호 안에 제곱수가 있으면 근호를 없애고 자연수로 나타낼 수 있다.

6. 제곱근의 대소 관계
  a > 0, b > 0 일 때
  1) a < b 이면 √a < √b
  2) √a < √b 이면 a < b
  3) a < b 이면 -√a > -√b

7. 유리수와 무리수
  1) 유리수 : 정수/(0이아닌 정수)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이다.
  2) 무리수 : 유리수가 아닌 수, 즉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이다.

8. 실수
  1) 실수 : 유리수와 무리수를 통틀어 실수라 한다.
  2) 실수의 분류 
  

9. 실수와 수직선
  - 서로 다른 두 실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실수가 있다.
  - 모든 실수는 각각 수직선 위의 한 점에 대응한다.
  - 수직선은 실수에 대응하는 점들로 완전히 메울 수 있다.

10. 실수의 대소 관계 
   두 실수 a, b의 대소 관계는 a - b 의 부호로 알 수 있다.
   1) a - b > 0 이면 a > b
   2) a - b = 0 이면 a = b
   3) a - b < 0 이면 a < b

11.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
    a > 0, b > 0 이고 m, n이 유리수일 때

    1) 제곱근의 곱셈
     -> √a * √b = √ab
     -> m√a * n√b = mn√ab

    2) 제곱근의 나눗셈
     -> √a / √b = √a/b
     -> m√a / n√b = m/n√a/b

12. 근호가 있는 식의 변형
    a > 0, b > 0 일 때

    ->  √a²b = √a * √b = a√b
    ->  √a/b² = √a/√b² = √a/b

13. 분모의 유리화
    부모에 유리수가 있을 때, 분모와 분자에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여 분모를 유리수로 고치는 것을 분모의 유리화라 한다.

14. 제곱근의 덧셈과 뺄셈
   m, n 이 유리수이고 a > 0 일 때
   1) m√a + n√a = (m+n)√a
   2) m√a - n√a = (m-n)√a

15. 근호를 포함한 복잡한 식의 계산
    a > 0, b > 0, c >0 일 때

    1) 괄호가 있는 경우에는 분배법칙을 이용한다.
      -> √a(√b ± √c) = √a√b ± √a√c = √ab ± √ac (복부호 동순)
      -> (√a + √b)√c = √a√c ± √b√c = √ac ± √bc (복부호 동순)

    2) 분모에 무리수가 있는 경우에는 분모를 유리화한다.
    3) 사칙연산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 후 덧셈과 뺄셈을 계산한다.   
 
16. 곱셈 공식을 이용한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
   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다항식의 곱셈과 같은 방법으로 전개하여 계산한다.
   

17. 곱셈 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
    분모가 두 개의 항으로 되어 있는 무리수일 때, 곱셈 공식 (a + b)(a - b) =  a² - b²을 이용하여 분모를 유리화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