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학

일차함수

Happy_Dobi 2016. 11. 1. 16:21

1. 일차함수

   함수 y = f(x)에서 y가 x에 관한 일차식 y = ax + b(a,b는 상수 a!=0)로 나타내어질 때 이 함수 f를 일차함수라고 한다.

2. 일차함수 y = ax + b (a!=0)의 그래프
   1) 평행이동 : 한 도형을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
   2) 일차함수 y = ax +b(a!=0)의 그래프
       일차함수 y = ax +b의 그래프는 일차함수 y = ax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이다.

3. 일차함수 y = ax +b의 그래프의 x절편, y절편
   1) x절편 : 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
   2) y절편 : 함수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

4. 일차함수 y = ax +b의 그래프의 기울기
    x의 값의 증가량에 대한 y의 증가량의 비율은 항상 a로 일정하다. 이 a를 그래프의 기울기라고 한다.
    - 기울기 = (y의 값의 증가량) / (x의 값의 증가량) = a
    
5. 일차함수 y = ax +b의 그래프의 성질 
    일차함수 y = ax +b(a!=0)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a이고 y절편이 b인 직선이다.

    (1) a의 부호에 따른 그래프의 모양 결정
    

    (2) b의 부호에 따른 그래프의 위치 결정
        - b > 0 일 때, y축과 양의 부분에서 만난다.
        - b < 0 일 때, y축과 음의 부분에서 만난다.

6.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평행과 일치
   -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 y = ax + b, y = a'x + b'
    1) 기울기가 같고 y절편이 다른 경우
       a = a' , b != b'    -> 평행
    2) 기울기가 같고 y절편이 같은 경우
       a = a' , b = b'     -> 일치
   - 서로 평행한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서로 같다. 

7.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
   (1) 기울기 a와 y절편을 알 때,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
        - 기울기가 a이고, y절편이 b인 직선을 그래프로 하는 일차함수 식은 y = ax +b
   (2) 기울기 a와 한 점 (x' ,y')를 알 때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 
        - 일차함수의 식을 y = ax +b 로 놓고 , a의 값을 대입
        - x = x', y = y'을 대입하여 b의 값을 구한다.
   (3) 두 접의 좌표를 알 때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
        - 기울기공식을 이용해 기울기를 구한다. 
        - y = ax +b에 기울기 대입
        - 두 저중 한 점의 좌표를 대입해 b의 값을 구한다.
   (4) x절편과 y절편을 알 때,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
        - x 절편이 a, y 절편이 b인 직선을 그래프로 하는 일차함수의 식은 두 점 (a,0),(0,b)를 지나고 y절편이 b라는 것을 이용해            구한다  

8.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
   - 일차방정식 ax + by + c = 0(a, b, c는 상수, a!=0,b!=0)의 해를 나타내는 그래프는 
     일차함수 y = -a/b x - c/b의 그래프와 같은 직선 이다.

9. 좌표축에 평행한(수직인) 직선
   1) 방정식 x = a의 그래프
   2) 방정식 y = b의 그래프 

10. 연립방정식의 해와 일차함수의 그래프 사이의 관계
    연립방정식의 해가 x = p, y = q이면 두 방정식의 그래프,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(p,q)이다.

11. 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두 그래프의 위치 관계
    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는 두 방정식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.